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 출제 경향 및 기출문제 분석 공부 방법
요약 ▼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출제 경향
1) 단답형으로 출제
2) 킬러문제 출제
3) 영어도 함께 암기
4) 프로그래밍파트: 기본이지만 자주 사용되지 않는 부분의 공부 필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출제율
5.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27% |
10.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16% |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 12% |
3. SQL 응용 | 10% |
8.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 10% |
4. 데이터 입출력 구현 | 8% |
7. 서버프로그램 구현 | 7% |
1. 요구사항 확인 | 3% |
2. 화면 설계 | 2% |
6. 통합 구현 | 2% |
12. 인터페이스 구현 | 2% |
11.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 1% |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방법
1. 기출문제 풀어보며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는지 파악하기
2. 기출문제에 해당하는 부분 암기하기
3. 출제율이 높은 순서대로 공부하기
4. 기출문제 및 출제 예상 문제 풀어보기
안녕하세요.
정보처리기사 실기는 2020년 출제기준이 개정되었습니다.
개정된 이후 많은 부분들이 바뀐것으로 파악됩니다. 개정 전보다 어려워진것같네요. 합격률만 봐도 개정 전은 늘 50%를 유지했지만, 현재는 20%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s://namu.wiki/w/%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EC%B6%9C%EC%A0%9C%EA%B2%BD%ED%96%A5
정보처리기사/출제경향
대한민국 국가기술자격 인 정보처리기사 의 시험 출제 경향 및 시험 난이도에 대한 문서. 과거에는 가장 따기 쉬
namu.wiki
개정전과 같이 일주일 벼락치기를 하기에는 쉽지않아졌으니, 보다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 시험문제 분석이 한번쯤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목차
1. 정보처리기사 실기 출제 경향
2.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분석
3. 효율적인 공부를 위한 공부 순서
정보처리기사 실기 출제 경향
1) 단답형으로 출제
약술형 시험이 사라졌습니다.
2) 킬러문제 존재
만점 방지용 문제가 출제됩니다.
맞출 생각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갑자기 브루나이 수도 맞추라고 하는 급의 문제입니다.
최소1~최대3문제정도 여유를 가지고, 시험 당일에 모르는 문제가 나오더라도 멘탈관리해야합니다.
모르는 문제는 무조건 있다고 생각하고, 애매하다 싶으면 넘기고 나중에 풀어야 멘탈 덜갈립니다.
3) 정답이 영어로 출제되는 경우가 증가함
영어도 함께 암기해야 합니다.
4) 프로그래밍 문제는 실무에서 잘 사용되지 않을법한 문제가 출제됨
코드는 짧게 출제되지만 세세한 부분에서 출제되는것 같습니다.
평소에 코딩을 할때 주로 사용되는 부분이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시프트, ++i, i++, bit, 기호 우선순위 등 ..
평소에 잘 사용되지 않는 부분들이지만 기초인 것들을 많이 묻는 것 같습니다.
코드는 쉬운데 기억이 안나서 답답하고 헷갈리는 문제들이 출제되니,
기본기를 조금 더 다진다는 생각으로 프로그래밍 공부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분석
과목별 출제율 (2020년~2024년 1회)
1과목. 요구사항 확인 3%
2과목. 화면 설계 2%
3과목. SQL 응용 10%
4과목. 데이터 입출력 구현 8%
5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27%
6과목. 통합 구현 2%
7과목. 서버프로그램 구현 7%
8과목.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10%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12%
10과목.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16%
11과목.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1%
12과목. 인터페이스 구현 2%
위 출제율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5과목.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27%
10과목.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16%
9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12%
3과목. SQL 응용 10%
8과목.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10%
4과목. 데이터 입출력 구현 8%
7과목. 서버프로그램 구현 7%
1과목. 요구사항 확인 3%
2과목. 화면 설계 2%
6과목. 통합 구현 2%
12과목. 인터페이스 구현 2%
11과목.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1%
위 순서대로 공부했을때, SQL까지만 공부해도 출제 비중이 65%입니다.
굳이 모든 과목을 다 빡세게 암기할 필요가 없다는겁니다.
출제율이 가장 높은 순서대로 공부하는게 유리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방법
1. 기출문제 풀어보며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는지 파악하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시작하기 전, 개정 이후의 기출문제를 한번 풀어봅시다.
풀면서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은,
암기를 요구하는 문제는 어떤 유형으로 출제되는지
코딩 문제는 어떤 유형으로 출제되는지
SQL 문제는 어떤 유형으로 출제되는지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난이도를 파악해야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를 시작했을 때,
문제유형에 맞게 문제를 생각하면서 암기를 진행하고,
출제되는 난이도만큼만 암기하는겁니다. 과한 부분은 바로 컷할수 있어야합니다.
공부 전 기출문제를 푸는건 정답을 맞추는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시원하게 틀리고 문제에 익숙해지는 과정입니다.
2. 기출문제에 해당하는 부분 암기하기
기출문제에 나왔다는건 그 부분이 중요한 파트라는 뜻일테니 일단 외웁니다.
기출문제에 디자인 패턴 관련 문제가 나왔다면, 디자인패턴 관련 내용 전체를 암기하는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3. 출제율이 높은 순서대로 공부하기
가장 많이 나오는 파트부터 공부를 하게되면, 추후 시간이 부족하더라도 운좋게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공부를 할 때에는 시험에 어떤 식으로 출제될지 예상하며 공부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4. 기출문제 및 출제 예상 문제 풀어보기
공부 다 했으면 문제 풀면서 문제에 익숙해져봅시다.